리스트 자료형의 연산자에는 '+'(덧셈), '*'(반복), 'len()'(길이 구하기) 등이 있다.
리스트 연산자 더하기, 빼기, 나누기 사용 방법
더하기, 빼기, 나누기는 쉽다
ListTest = [20, 10]
print(ListTest[0] + ListTest[1]) #리스트 연산자 더하기
print(ListTest[0] - ListTest[1]) #리스트 연산자 빼기
print(ListTest[0] / ListTest[1]) #리스트 연산자 나누기
위와 같이 해주면 특정 요소를 지정하여 연산을 시켜줄 수 있다.
위의 소스 결과값은 아래와 같다.
리스트 연산자 반복 사용 방법
ListTest = [20, 10]
print(ListTest * 2) #리스트 연산자 반복
리스트 연산자 반복은 위와 같이 대괄호([]) 없이 '*'로 원하는 반복값을 넣어주면 원하는 반복값만큼 결과 값이 나오게 된다.
위의 결과값은 아래 이미지와 같다
리스트 연산자 길이 구하기 사용 방법
리스트 연산자 길이 구하기는 len() 함수로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예제로는 아래와 같다
ListTest = [20, 10]
print(len(ListTest), len(ListTest*2)) #리스트 연산자 길이 구하기
위와 같이 해주게 되면 2와 4가 나오게 된다.
ListTest의 길이는 2이고 그걸 2번 반복하여 4가 나오게 된다.
반응형
리스트 변경과 삭제하는 방법
리스트 변경은 특정 요소에 직접적으로 변경해 줄 수 있으며
리스트 삭제는 특정요소에 del 함수를 이용하여 삭제해 줄 수 있다.
리스트 변경 및 삭제 예제
- 리스트 변경
리스트 변경은 아래와 같이 해줄수 있다.
ListTest = [20, 10,'텀블러']
print("변경 전 : ",ListTest) # 리스트 변경 전 출력
ListTest[2] = '리스트 변경' # 리스트 변경
print("변경 후 : ",ListTest) # 리스트 변경 후 출력
위와 같이 특정 요소에 직접 변경하여 해줄수 있다.
출력값은 아래와 같다.
- 리스트 삭제
리스트 삭제는 del 함수를 이용하여 특정 요소를 삭제시켜 줄 수 있다.
ListTest = [20, 10,'텀블러']
print("삭제 전 리스트 : ", ListTest)
del ListTest[2] #del을 이용 하여 특정 리스트 삭제
print("삭제 후 리스트 : ", ListTest)
위와 같이 특정 리스트를 삭제시켜줄 수 있다.
위와 같이 소스를 실행시켜주게 되면 아래와 같이 결과 값이 나오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