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221 [MSSQL] NULL값 처리(ISNULL / IS NOT NULL) ISNULL MSSQL 연산자인 IS NULL은 NULL값인 값을 조회할 때 사용한다. 여기서 NULL이란 데이터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표현이며, 0이나 공백이 아닌 알 수 없는 값을 의미한다. NULL일 경우 TRUE로 리턴하여 조회가 되며, NULL이 아닐 경우 FALSE를 리턴하여 조회를 하지 않는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공란은 문자 값이고 0은 숫자 값이기 때문에 NULL값이 아니므로 조회를 하지 않는다. IS NULL 특징 [칼럼명] IS NULL 형식으로 사용한다. 해당 칼럼이 NULL인 로우만 검색한다. NULL이 아닌 데이터를 검색하고 싶다면 IS NOT NULL을 사용한다. [칼럼명] = NULL , [칼럼명]!= NULL과 같은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IS NULL 연산자 쿼리 SE.. 2022. 5. 9. [MSSQL] 칼럼(추가/변경/삭제/속성 변경) SQL을 이용하다 보면 칼럼명을 추가 또는 칼럼명 변경, 칼럼 삭제, 칼럼 속성 변경을 할 때가 있다. 그럴 때마다 디자인 들어가서 해당 칼럼을 찾아서 변경, 삭제, 속성 변경을 하거나 추가해줘야 한다. 디자인을 안 들어가더라도 쿼리로도 충분히 변경, 삭제, 속성 변경을 해줄 수 있다. 컬럼 추가(ALTER) 칼럼을 추가해 주는 쿼리는 ALTER를 이용해서 추가시켜 줄 수 있다. 나중에 수정 가능하지만 이때 확실하게 해줘야 할 것은 원하는 테이블에 추가할 칼럼명과 데이터 타입을 확실하게 정해주고 쿼리를 날려줘야 한다. 그래야 쿼리를 한번 실행해줘야 할 일을 두 번 안 하게 된다. 칼럼 추가(ALTER) 쿼리 ALTER TABLE [테이블 이름] ADD [컬럼명] [데이터 타입]; 칼럼 추가(ALTER) .. 2022. 5. 6. [C++] 대문자 소문자 변환(아스키코드, tolower, toupper) 영어 입력을 받을 때 가끔 대소문자로 변환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c++에서는 아스키코드 값으로 변경하는 방법과 tolower, toupper 방법으로 대문자를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 변경이 가능하다. 아스키코드값으로 대소문자 변환 아스키코드 값은 대문자A는 65이며 대문자 Z는 90이며, 소문자 a는 97이고 소문자 z는 122이다. 대소문자 아스키코드 값 차이는 32이다. 그말은 즉슨 대문자에서 소문자로 변환 할때는 32를 더해주고 소문자에서 대문자로 변환할때는 32를 빼주면 된다. #include int main() { std::string strA = ""; std::cout > strA; std::cout 2022. 5. 4. [MSSQL] IN 비교 연산자(NOT IN) 사용법 및 사용 예제 mssql에서 IN 연산자는 주로 쿼리문 WHERE절에 주로 사용되며 원하는 데이터 값이 여러 개일 때 사용한다. = 연산자와 유사하지만 = 연산자는 조회 조건을 한 개만 지정할 수 있지만 그에 반해 IN 연산자는 원하는 데이터 값을 여러 개 지정할 수 있다. 여러 개 지정하게 되면 그중 하나라도 만족하게 된다면 해당 조건을 결과 값으로 출력하게 된다. OR로 데이터 조회할 수 있지만 IN 연산자로 좀 더 편하게 조회할 수 있다. MSSQL IN 쿼리 사용법 SELECT * FROM [테이블명] WHERE [칼럼명] IN ( [조건1],[조건2],[조건3], ... ) 위와 같이 IN 뒤에 조건 여러 개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MSSQL IN 쿼리 예제 및 결과값 MSSQL IN 쿼리 SELECT .. 2022. 4. 27.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다음 반응형